Between the letters on the cotton cloth, there’s a blank space waiting for the name of your beloved furry friend. Fill it in and make the sentence your own. It could be the name of a furry friend, whether from your dreams or your future.
면천 위에 놓인 글자들 사이에 제가 사랑하는 털복숭이 동물들 이름의 자리를 비워두었습니다. 당신이 사랑하는 이름을 빈칸에 적어 당신의 문장들을 만들어보세요. 미래에 만날 혹은 상상 속의 털복숭이의 이름을 적으셔도 좋겠습니다.
A cheat sheet for making my first HTML web Page. Since the single angle brackets < > cannot be entered alone on the web because they function as code input symbols, they have been replaced with round brackets ( ). If the auto-complete feature isn't working in your coding program, check out this cheat sheet.
첫 번째 HTML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만든 컨닝페이퍼. 웹에서는 홀로 입력이 안 되는 코드 입력 기호 홑화살괄호 < >를 둥근 괄호 ( )로 바꿔 표기했습니다. 만약 당신이 사용하는 코딩 프로그램에서 자동 완성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 컨닝페이퍼를 확인해 보세요.
This page is a record of my solo exhibition, ≪Wave Height 파도의 높이≫(2024, Art For Lab, Plus Period) held across two locations, connected fragmented or vividly captured memories through paintings and texts, sculptures and images—bridging the two spaces. This time, I’m planning to move on to another space called a webpage. Are you ready?
저의 개인전 ≪Wave Height 파도의 높이≫(2024, 아트 포 랩, 초점과 온점)를 기록한 페이지입니다. 두 장소에서 진행된 전시는, 흩어지거나 선명하게 포착된 기억들을 그림과 글, 조각과 그림으로 이어내며 서로의 공간을 연결했습니다. 이번에는 웹페이지라는 또 다른 공간으로 넘어가보려고 하는데요. 준비 되셨나요?
This page, "If It’s a Curved Surface, It’ll Meet Someday," began with a round mirror. One evening on my way home, the sky was bright, and when I looked up, I saw a building wrapped in curved screens. From curved to flat, depending on the shape and slope, some paths meet quickly—others take their time.
동그란 거울에서 곁가지를 낸 "곡면이면 언젠가 만날 거야."입니다. 귀갓길에 하늘이 밝아서 쳐다보니 곡면 스크린이 건물을 감싸고 있더라고요. 곡면 스크린부터 평면 스크린까지, 곡률에 따라 금방 만날 수도, 먼 데를 돌아서 만날 수도 있습니다.
After hearing news of children venturing out to find food in place of their guardians, I created this webpage. I sincerely hope that peace will return to Palestine soon.
보호자를 대신해 먹을 것을 구하러 나온 어린이들의 소식을 접하고 이 웹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이 하루빨리 평화를 되찾기를 바랍니다.
I've been keeping track of the plants I water almost daily since fall 2017 including their names and photos. I started keeping records for the simple reason that I wanted to know how often I should water plants. What started as just a handful of plants arranged on a small towel for photos has grown into quite the collection over the years – more plants, different cameras and platforms to share them on. This page might be the closest answer to why the word "scrivener" made it into the website title. Though I'm also just a huge fan of Herman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 If you're looking to plant some greenery on your social media, feel free to stop by and take a look.
2017년 가을부터 오늘 물주기 한 식물들의 목록과 사진을 거의 매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식물에게 며칠에 한 번 물을 줘야 하는지 알고 싶다는 단순한 이유에서 기록을 시작했는데요. 처음엔 몇 개 안 되는 식물들을 키우며 작은 수건 위에 올려두고 사진을 기록했던 식물들이 이젠 개수도 늘어나고, 촬영하는 기기도, 소개하는 매체도 조금씩 변화해 왔습니다. 왜 홈페이지의 제목에 필경사라는 단어가 들어갔는지, 어쩌면 그에 가장 가까운 답이 될 수도 있는 페이지입니다. 물론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를 무척 좋아하기도 하고요. 당신의 소셜 미디어에 식물을 심고 싶으시다면 방문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This timeline shows how these webpages came to be. You can check how the changes unfolded along the way.
위에 보이는 웹페이지들을 수정해 온 과정을 기록했습니다.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손바느질 타임라인 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